RE:[일반]COSMOS 좌굴해석 질문입니다.
- 작성일06-06-28 09:33
- 조회2,419
- 작성자노드데이타
이메일 : ryu@nodedata.com
안녕하세요? 노드데이타의 유아름입니다.
먼저 아실지도 모르지만 좌굴에 대해 소개좀 먼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좌굴은 압축력에 의한 갑작스런 큰 변위를 보입니다. 가느다란 구조물이 축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물질의 파손하중보다 낮은 하중에서도 좌굴에 의하여 파손됩니다.
좌굴은 하중에 따라 여러가지의 모드로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가장 작은 좌굴 하중만이 고려대상입니다.
좌굴 현상은 가는 부분이 압축력을 받는 경우 항상 주요한 파괴 모드의 하나로 고려됩니다. 사실 많은 구조물의 파괴에 의한 재해는 좌굴로부터 시작되고, 최종 파손의 경우만이 좌굴 후 변형 단계에서의 큰 응력에 의하여 일어날 뿐입니다.
COSMOSWorks에서 좌굴해석은 파트와 어셈블리에 대하여 해석하실 수 있지만 어셈블리를 해석하실 때 모든 파트는 결합 상태에 있어야 하고 접촉 조건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하중계수(BLF)는 좌굴해석에서 굉장히 중요합니다.
BLF = 좌굴하중/적용된 하중 입니다. 각 결과 폴더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변형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좌굴하중계수표시라고 있습니다.
좌굴 모드는 좌굴이 일어난 후의 구조물의 형상을 제시하지만 변형의 실제크기는 알 수 없습니다.
좌굴하중이 0>BLF>1 또는 BLF=1 일 때 좌굴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보내주신 모델로 좌굴해석을 했을 때, 좌굴하중은 50정도로 나오는 것으로 확인 했을 때 이 모델의 좌굴은 없다라고 생각하시고 기본적인 선형해석을 하셔도 무방하실 것 같습니다…
답변이 조금 되어드렸는지요 더 부족하시면사무실로 전화주십시요.
그럼 수고하세요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